반응형

https://comeinsidebox.com/how-to-fix-windows-10-hangul-consonant-and-vowel-separation-error/#:~:text=%ED%84%B0%EC%B9%98%20%ED%82%A4%EB%B3%B4%EB%93%9C%20%EC%95%84%EC%9D%B4%EC%BD%98%EC%9D%84%20%EB%A7%88%EC%9A%B0%EC%8A%A4,%EB%B6%84%EB%A6%AC%20%EC%98%A4%EB%A5%98%EA%B0%80%20%ED%95%B4%EA%B2%B0%20%EB%90%A9%EB%8B%88%EB%8B%A4.

 

윈도우 10 한글 입력 시 자음 모음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들 - insideBOX

윈도우에서 한글로 타이핑 시 텍스트가 정상적으로 입력 되지 않고 '자음' 과 '모음' 이 분리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소가 분리되는 오류가 시작 되면 특정 앱에서만 제한적으로 생기는 경우도

comeinsidebox.com

 

필자는 "window + . " 키로 해결이 되었음.

반응형
반응형

8기가 이상되는 USB를 연결하여 말끔하게 NTFS로 포맷을 해준다.


우선 아래 파일을 다운 받아서 설치 후 실행 시킨다.

Windows7-USB.exe


1/4 단계에서 원본파일을 선택한다. 즉 윈도우의 iso 파일을 선택 후 다음을 누른다.

2/4 단계에서 USB 장치를 선택

3/4 단계에서 USB 드라이버를 선택(이미 자동 선택 되어 있을 것이다.) 후 복사 시작

4/4 복사가 완료되면 창을 닫는다.


설치 할 PC에 USB를 꽂고, 재부팅을 한 후 CMOS로 들어간다.

부팅 순서를 USB를 제일 처음으로 옮긴 후 재부팅을 하면 설치 진행이 가능하다.



반응형
반응형

몇 년만에 조립PC를 구매하여 윈도우7을 설치해보았다. 너무 오랜만에 하는 것이라 살짝 긴장이 되더군!ㅋㅋ

요즘 ODD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대세이기에, ODD는 구매하지 않았다.

기존에 있던 CD-ROM으로 설치하고자 하였으나, 계속적으로 윈도우7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팅 또는 설치 중 다운 등등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CD-ROM 또는 CD가 문제 인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USB로 설치 디스크를 만들었다. USB 설치 디스크 만드는 것은 아래 URL에서 확인 바란다.


http://blog.goodgods.com/435


그래도 CD로 하였을 때와 똑같은 증상이 발생되는 것이 아닌가..

몇시간을 고생하였지만, 결국에 설치 실패...


CD와 CD-ROM이 잘못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설치를 기다리고 있던 "ASRock B85M-DGS 디앤디컴" 을 장착한 저사양 PC에 우선적으로 설치를 해보았다.

문제없이 윈도우7을 설치하였다.


그러면 CD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그럼 무엇이 문제란 말인가??


나의 메인보드는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피씨디렉트" !!

여기저기 구글링을 통하여 알아본바로는

윈도우7과 기가바이트 호환이 제대로 이루워지지 않는다는것..여러 이유가 있었으나, 이해를 못했다는..ㅠㅠ

윈도우7을 설치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몇가지 시도를 해보고 포기...

오래동안 삽질을 하였기에..또 안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으로 전부 무시하고 윈도우 10을 선택하여 설치 완료..


내가 했던 방법은 틀렸던 것이 아니였다.

단지 윈도우7과 기가바이트 메인보드가 호환이 안되었던 것인데, 이걸 가지고 몇 시간을 소비했으니..지칠만도 하겠다.

아무튼 할 수 없이 윈도우 10으로 usb 설치를 완료하였다.


윈도우10을 설치 후 드라이버를 설치하는데 여기서 또 하나의 문제가 생겼다.
아래와 같은 에러로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가 없었다.

이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는 이 Windows 버전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나의 그래픽 카드는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1060 STORM X Dual D5 3GB" !!


또 구글링을 해보니, 윈도우 10 빌드 버전이 낮아서 설치를 할 수 없다는 얘기란다.
아래 URL은 그래픽카드도 동일 모델이고 같은 증상에 대한 해결방법이 잘 나와 있어, 큰 도움을 받았다.


윈도우 실행을 하여 윈도우 버전을 확인해 보자.
윈도우키 + R 후 winver 를 입력하면 윈도우 정보 창이 하나 뜬다.(여기서 버전을 확인해보자)
나의 버전은 1011 어쩌고 저쩌고 였던 듯..(기억이 안남)
아래 URL에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업데이트 이후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다.

너무 오랜만이라서 그런지...어렵다.
호환 안되는 것도 많고...제약사항이 왤케 많은 것인가..
왜 이렇게 호환성을 떨어트리는 것인지...하드웨어 회사의 문제인지...OS 회사의 문제인지..

예전에 눈감고도 했었는데...이제 PC 조립도 못해먹겠구나..세월이 가면~~~~~



반응형
반응형

youtube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youtube에서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브라우저에서 자바스크립트가 사용 중지된 경우 ..." 라는 문구가 뜬다던가

포털 주위가 휑하다고 생각된다면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아서다.


인터넷 옵션에 들어가서 보안탭-사용자지정수준으로 들어간다.


"스크립틀릿 허용"이라는 곳을 찾아서 허용으로 체크해주고 브라우저를 재실행한다.

 - 스크롤바에 1/3 지점정도에 있는 듯 함. 캡쳐 사진은 추후에 올리겠다.

반응형
반응형

C:\Windows\System32>net use

새 연결 정보가 저장되지 않습니다.


상태         로컬      원격                      네트워크


-------------------------------------------------------------------------------

OK                     \\111.111.111.111\IPC$       Microsoft Windows Network

명령을 잘 실행했습니다.



C:\Windows\System32>net use \\111.111.111.111\IPC$ /delete

\\111.111.111.111\IPC$이(가) 제거되었습니다.


C:\Windows\System32>

반응형
반응형

크롬에서 토렌트 툴바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프로그램 삭제에서 해당 ask 툴바를 제거하였지만, 끝까지 보였다.


제거 방법을 찾다가찾다가 혹시나 하고 보니 역시나..ㅋㅋ


결론은

크롬에서 다운로드 확장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

설정에서 왼쪽 상단에 확장 프로그램을 클릭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할 수 있다.

휴지통 버튼을 꾹 눌러주어라.


반응형
반응형

보통 ActiveX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C:\Windows\Donloaded Program Files 에서 파일을 삭제하면 된다.

그러나 비스타인 경우 삭제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제어판에 들어가서 삭제를 해주어야 한다.


인터넷옵션 -> 프로그램 탭 선택 -> 추가 기능 관리 ->

표시에서 다운로드 받은 컨트롤 선택 후 (액티브x명) 선택 -> 마우스 우클릭 후 추가 정보 클릭 -> 제거 후 닫기


이와 같이 하면 삭제가 된다.

반응형
반응형
Windows XP 설치 후 PCI Device 가 잡히질 않아 고생을 했다.
사운드가 듣기 싫은 삐삐 거리는 소리만 들려 PCI Device가 오디오 드라이브와 관련 됐을 것이라 추측하였다.
그래서 오디오와 관련된 드라이브를 찾아서 설치하려 하였지만, 설치를 못한다는 에러만 보일뿐이다.

[해결방안]
서비스팩2이하라면 KB888111을 설치한다.


그러면 PCI Device 가 사라지고 audio 관련된 문구가 나타난다.(역시나 오디오였음.)

해당 드라이버를 설치하니 제대로 설치가 되었다.

장치관리자에서 드라이브 업데이트를 클릭하고 권장 또는 고급으로 들어가서 업데이트를 하면 쉽게 할 수 있다.

반응형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에서 ask 툴바 제거  (0) 2012.09.23
ActiveX 삭제  (0) 2012.06.21
바탕화면 아이콘의 글자배경색을 투명하게 하기  (0) 2011.09.01
Active Desktop Recovery  (0) 2011.09.01
디스크 용량이 부족하다고 나올때  (0) 2010.05.05
반응형
 - 작업 1단계
1. 내컴퓨터를 클릭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 클릭.
2. 고급탭 -> 성능의 설정 -> 시각효과탭에서 사용자 지정 선택.
3.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 및  창 및 단추에 시각 스타일 사용 을 제외하고 전부 체크 해제
4. 적용
 
 - 작업 2단계
1.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 클릭.
2. 바탕화면 탭에서 바탕화면 사용자 지정 선택. 
3. 웹 탭에서 웹 페이지 부분에 현재 홈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삭제.
4. 바탕 화면 항목 잠금 체크해제
5. 적용 
반응형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tiveX 삭제  (0) 2012.06.21
PCI Device 문제(XP 서비스팩2)  (0) 2012.01.16
Active Desktop Recovery  (0) 2011.09.01
디스크 용량이 부족하다고 나올때  (0) 2010.05.05
Microsoft office outlook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0) 2010.01.28
반응형
바탕화면에 Active Desktop Recovery 가 생겼다. 
Active Desktop 복원을 클릭하면 스크립트 오류가 발생하여, 아무런 반응도 나타나지 않는다.

해결방법
1. regedit 실행.
2. 아래 경로로 이동.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Desktop\SafeMode\Components
3. 이름이 DeskHtmlVersion 에서 단위를 10진수로 체크하고, 값데이터를 0으로 변경한다.
4. 재부팅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하드 디스크 용량은 충분히 있는데 파일 넣을 때 디스크 용량이 부족하다고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하드 디스크가 FAT형식으로 포맷이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FAT는 4기가 이상의 파일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포맷을 할때 NTFS형식으로 포맷을 해주시고 파일을 다시 넣어보시면 이상없이 잘 될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위 제목과 같은 에러메세지를 보여주며 outlook이 실행되지 않을 때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치면 된다.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2>outlook.exe /resetnavpane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2>
반응형
반응형
출처 여름초록이 | 이기
원문

 

질문자 평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상메모리의 안정적인  증설 수치는 기본메모리의    1.5 ~ 2.5 배가  가장 안정적이라 합니다.

따라서 실제  메모리 수치가 ★256  이하인 경우  2배 까지  증설을 해 보시고

★256 이상인 경우  무리하지  않는  1.5배 수치로 무리 하지 않는 증설이 안정적인  효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안정적인   가상메모리 효과는   하드용량의  20% 내외의 여유공간이 있어야 가상메모리의  효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무리한 증설은  효과를 보지 못하며   하드에 무리를 줄수도  있을듯  합니다.

 

 

위 사진의 실제 메모리 크기가  512에   안정적인  증설수치  1.5배 를 하면 765 MB 로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512를  765 MB로   확장 증설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상 메모리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작을 누르고  ㅡ>설정 또는 제어판 을 누르고 ㅡ>시스템을 더블클릭 해  시스템등록정보창을 엽니다.

 

1. 아래 시스템등록정보창의  그림의 고급텝 에서 ㅡ>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2. 성능 옵션창이 뜨면 창의  맨위 고급 텝 을 누르고   창아래  변경 버튼을 누릅니다

 

 

3. 아래 그림에서 [사용자 지정 크기]에체크한후 현제 실제 메모리의 1.5~2.5 배를 [처음 크기] 와 [최대 크기] 를 같이 입력합니다.

 (예를들어 실제 메모리가 512 MB 일때  1.5배인  765 MB 로 입력합니다)

입력 후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4. 아래 창이 나타나면   반드시   [확인] 버튼을 눌러 시스템 재시작 합니다

70206

 

 

 

 

 

요즘 컴퓨터가 가상메모리 부족하다며 하드만 팽팽 돌아가고, 영 시원찮더니

위의 방법을 써보니 속도가 많이 빨라졌어요. ^^*

반응형
반응형

음.. 저는 지식in 검색해본 결과 2가지에 방법이 있더군요!

 

하나는 레지스트리에서 삭제하는 경우와 위 파일을 검색하여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입니다.

 

어느 하나만 해서 되는 것은 확인은 할 수 없었지만 확실히 하기 위해서 위 2가지를 모두 삭제 해주었습니다.

 

1. 레지스트리에서 삭제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 Browser Helper Objects 이 폴더 하위폴더는 전부 삭제.(각자 하나씩 삭제 해주어야 합니다.)

 

2. 파일 삭제

시작 → 검색 → 파일 또는 폴더 실행.

왼쪽 하단쯤 보시면 모든 "파일 및 폴더" 선택.

위 오류나는 파일이름을 검색(확장자명은 제외) 하여 주시고 삭제해 주시면 됩니다.

2개의 파일이 검색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2개 모두 삭제해 주세요.

 

재부팅하시면 오류 창이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입니다.

저도 컴터에 이런 오류창이 떠서 위 방법처럼하였더니 사라졌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PC정비사 따라잡기!! | 피씨지기
원문 http://blog.naver.com/larc0412/140032521907
◈ 방법 1 

1. 시작->실행->regedit 입력 후 확인. 

2.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폴더로 이동 후 우측 창에 나오는 파일 중에서 기본값만 제외하고 모두 삭제.(단, CTFMON이 있다면 그걸 제외하고 삭제합니다.) 

3.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Browser Helper Objects 폴더 밑의 하위폴더를 다 삭제합니다. 

4.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URLSearchHooks 폴더로 이동 후 우측 창에 나오는 파일 중에서도 기본값만 제외하고 모두 삭제 

5.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폴더로 이동 후 우측 창에 나오는 파일 중에서도 기본값만 제외하고 모두 삭제. 

6. 시작->설정->제어판-> 인터넷 옵션-> 쿠키 삭제 , 파일삭제 (오프라인 항목체크) 를 합니다. 

7. 설정-> 개체보기-> 모두 선택한후 삭제해 주십시오. (오류가 나면서 삭제안된다고 하면 재부팅후 다시 삭제해주십시오. 분명히 100% 다 삭제됩니다.) 

8. 보안탭에서-> 기본 수준 클릭, 개인정보-> 기본값 클릭 

9. 연결탭으로 이동하여 LAN 설정을 클릭 - 프록시 서버와 자동 구성의 체크박스에 체크를 모두 빼주십시오. 

10. 고급탭으로 이동하여 기본값 복원 버튼을 클릭 한뒤 URL 을 항상 UTF-8 로 보냄, 타사 브라우저 확장명 사용에 체크를 해제 해 주십시오. 

11. 컴퓨터 재부팅. 

만약 방법 1로 했는데도 안된다면...... 방법 2로 해봅니다. 


◈ 방법 2 

요즘 악성코드는 악성코드 검색 및 치료프로그램 하나만으로 치료되지않습니다.^^; 

더구나 안전모드로 부팅한 후에 해 주어야만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가 해결되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제의 주관적 생각상 바이러스를 가장 완벽히 해결해 주는 것은 안철수 V3시리즈나 터보백식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로그램이 없다면 '안철수연구소'사이트 가서 (http://info.ahnlab.com/download/evaluate_v3.html) V3 pro 30일 데모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하여줍니다. 

당연히 업데이트를 해보고 꼭 재부팅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안전모드에서만 해결할수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1. 전원버튼 누르자마자 F8번 키를 '톡톡' 눌러서 안전모드로 부팅. 

2. 설치된 V3 시리즈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사 치료합니다. 

- 당연히 전체검사를 해서 완벽히 치료를 해야겠지요.^^ 

이렇게 하면 왠만한 바이러스를 치료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이제 제가 추천하는 악성코드 프로그램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은 'ad-aware se' 라는 프로그램입니다. 
네이버자료실 또는 심파일에서 'ad-aware se' 를 검색하면 
Ad-aware SE Personal 1.05 라고 나오는 실행 파일을 다운 받고, 설치하여 줍니다. 
더구나 무료로 업데이트가 되므로 해줍니다. 

http://download.naver.com/pds_leaf.asp?pg_code=2814&pv_code=3 

사용방법은 

1. 시작->프로그램-> ad-aware se를 실행 
2. scan now->perform full scan을 선택. 
3. Next를 클릭 후 검사 시작.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의 용량 및 설치된 프로그램이 많을 수록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4. 검사가 끝나면 Next->quarantine 치고 파일 이름입력. 
5. Next 눌러 삭제. 악성 파일, 쿠키를 삭제합니다. 
6. 컴퓨터 재부팅. 


만약 방법 2까지 되지 않으셨다면 마지막 방법은 이것뿐입니다. 

◈ 방법 3 

1. IE 6.0 을 다운로드 합니다. 다운로드만 하고 실행은 시키지 말아 주십시오. 

2. 시작->실행->regedit 입력 후 확인. 

3.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Active Setuplnstalled components{89820200-ECBD-11CF-8B85-00AA005B4383} 폴더로 이동하여 
{89820200-ECBD-11CF-8B85-00AA005B4383}이 선택된 상태에서 메뉴중에 파일 - 내보내기를 이용하여 백업을 받아 두시기 바랍니다. 

4. 백업을 받아 두셨으면 위 경로에 해당하는 {89820200-ECBD-11CF-8B85-00AA005B4383}폴더를 삭제 시켜 줍니다. 

5. 삭제 후 열린 창을 모두 닫고 ie6 다운받아 놓은 것을 설치해 주시기 바랍니다. 

꼭 재부팅을 해줍니다. 

6. 인터넷 실행 시킨 후 

7. 도구->Windows Update 클릭. 

8. 모든 중요 업데이트와 Windows Update를 하나도 빠뜨리지 말고 다 업데이트 해 놓습니다.(단, 윈xp서비스팩2는 설치하지않습니다. 하지만 유명메이커 피씨라면 크게 상관없습니다.) 

9. 설치과정은 몇번의 재부팅될것입니다. 그렇지만 꼭 하나도 없을 때까지 하셔야 합니다. 

10. 이젠 익스플로러를 재설치하고 패치까지 했으므로 악성코드는 분명히 없어졌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이젠 ad-aware se와 같이 설치된 Ad-watch se professional을 실행시켜 놓으면 실시간으로 악성코드를 방지해 줍니다. 

이렇게 까지 했는데도 안되면 윈도우 재설치뿐이네요..
반응형
반응형
출처 머릿속에 남겨두고 싶은 것들.. | 세실리아
원문 http://blog.naver.com/essencream/30008067262

먼저 당나귀클린을 설치하신분, [

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당나귀클린 제거.

트레이아이콘에서 당나귀클린을 종료 그리고 [C드라이브]에 가서 [Program Files]에서 당나귀클린을 쉬프트 + 딜리트 눌러서 삭제.

그리고 당나귀를 사용하지 않으실 꺼면 DonkeyP2P 폴더를 제거하시면 되지만 당나귀를 쓰실 분들은 update_check인가? 하는 파일을 제거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시작]-[실행] regedit 입력 후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에서 당나귀클린이라고 되있는 것을 제거 합니다. 그리고 왼쪽 창에서 Run을 클릭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사용권한]을 클릭 [고급] 에서 [펀집]을 보면 값 설정 이란게 있는데 이것을 거부에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에서 DonkeyP2P어쩌구 하는 것을 제거하면 끝입니다... 다소 복잡하긴 하지만 이게 아주 완벽한 방법입니다.
(출처 : '당나귀클린삭제' - 네이버 지식iN)

반응형
반응형

qorugh1 (2006-09-22 23:56 작성)  

저도 최근 안 것인데요

 

실행에서 regedit 를 친후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SharedDLLs 라는 것을 일단 잡습니다.

 

 그러면 옆에 많은 개체들이 뜨는데 그건 일단 보지 말고

 

 sharedDDLs를 오른쪽 클릭으로 사용권한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창이 하나 뜨죠?

 

 거기서 고급을 클릭하면 부모개체 어쩌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을 체크해줍니다.

 

 그러고나서 확인만 누르면 끝납니다. 이제 모든것이 해결! 설치든 제거든 업데이트든 얼마든지 해보세요
 

(출처 : 'ms office 2000을 지우고 2003을 깔려고 하는데 오류가 나네요' - 네이버 지식iN)

 

 

★★ qorugh1 님의 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집필자 : gene233  (2006-09-17 00:43)

 

노하우사전 분류 :  IT 
 
저도 이 문제때문에 지식인 검색을 해보고 했지만 마땅한 답변이 없는 것 같아

이것 저것 다 해보다 발견한 방법을 올려보려 합니다.

 

우선 인터넷을 띄우시면 주소표시줄 앞에 주소(D)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거기에 마우스포인트를 갖다대시고 오른쪽 클릭을 하면 팝업이 뜹니다.

 

그 팝업엔 기본적으로 표준단추/주소표시줄/연결/도구모음잠금/이동단추
(사용자에 따라서 백신프로그램이 있을 수도 있지만)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만약 SEARCH(검색)프로그램이 함께 뜬다면, 그것을 지워줘야 합니다.

제 생각엔 다른 검색 프로그램이(예를 들면, 네이버 점프, searchMe 등등) 깔리면,

그 검색프로그램이 윈도우 익스플로러 검색기능을 대신하게 되어

윈도우인터넷옵션에서의 기능들이 안 먹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어판에 가셔서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그 프로그램을 찾아 삭제해줍니다.

 

삭제될 때 떠 있던 인터넷창이 닫힐 것이고, 삭제가 다 된 후 인터넷을 열면 목록이

다 사라져 있을 것입니다.

 

도움 되셨길 바라며...


 
내용출처 : [직접 서술] 직접 서술

(출처 :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주소창 목록 지우기' - 네이버 지식iN)

 

 

★★ gene233 님의 글이였습니다...

 

 

=======================================================================================

네이버에 물어봐서 다른 것들도 찾아봐서 해보았지만 효과를 못 보았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서 간단하게 프로그램만 지우면 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위 글에 나와있는 프로그램들이 없으시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시작->실행
 
RunDll32 advpack.dll,LaunchINFSection %windir%\INF\msmsgs.inf,BLC.Remove
반응형

+ Recent posts